본문 바로가기
경제 한눈에 보기

"노쇼' 기업도 소비자도 울린다

by 151번길 2025. 3. 19.
반응형

 

노쇼(No-Show)는  어려운 경제를 악화시킵니다. 

 노쇼(No-Show)는 고객이 예약을 하고도 사전 취소 없이 약속 장소에 나타나지 않는 행위를 의미합니다. 

노쇼 사례들

  1. 식음료 업계의 노쇼 사건
    • 2025년 초, 서울의 한 인기 레스토랑에서는 예약 시스템의 부재로 인해 많은 노쇼 사건이 발생했습니다. 특정 시간대에 예약을 취소한 고객들이 나타나지 않으면서, 다른 고객들이 예약을 못하는 상황이 발생했으며, 이에 따른 고객 불만이 급증했습니다. 이로 인해 레스토랑은 예약 보증금 제도를 도입하게 되었습니다.
  2. 항공업계의 노쇼 문제
    • 항공사에서는 승객들이 예약한 항공편을 취소하거나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는 항공사에 큰 손실을 안겨주며, 이로 인해 항공사들은 승객에게 사전 확인을 요청하거나 예약 시스템에 대한 강화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노쇼를 하는 심리: 왜 사람들은 약속을 지키지 않을까?

노쇼의 심리적 원인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며, 주로 개인의 상황과 감정, 사회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합니다.

  1. 책임감 부족
    • 약속을 지키지 않거나 나타나지 않는 사람들은 종종 그 약속에 대해 큰 책임감을 느끼지 못합니다. 특히 가벼운 약속에 대해서는 '어차피 큰 문제가 되지 않을 것'이라는 생각을 갖게 되어, 늦거나 취소하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2. 시간 관리 문제
    • 일부 사람들은 약속을 잡고 나서도, 다른 일들이 겹쳐 시간 관리에 실패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로 인해 노쇼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3. 심리적 저항감
    • 약속을 지키는 것이 부담스럽거나 불편하게 느껴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특히 직장 내 회의사회적 약속에서 노쇼가 발생하는 경우, 사람들은 약속을 지키는 것이 자신에게 스트레스를 주거나 시간 낭비라고 생각하여 나타나지 않기도 합니다.
  4. 즉흥적인 결정
    • 때때로 사람들은 순간의 감정이나 즉흥적인 결정을 따르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기분이 좋지 않거나 갑자기 다른 일에 매력을 느껴 예약을 취소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한 해 피해규모는 어느 정도인가요? 

한국: 현대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음식점, 병원, 미용실, 고속버스, 소규모 공연장 등 5대 서비스 업종에서 노쇼로 인한 연간 매출 손실액은 약 4조4,930억 원에 달합니다. 특히 음식점 업계에서는 예약자의 약 20%가 노쇼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일본: 일본에서는 노쇼로 인한 피해가 연간 2,000억 엔(약 2조 원)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참고]

노쇼를 방지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사전 결제 시스템 도입: 미리 결제하도록 하여 노쇼를 줄임
예약 확인 문자 발송: 방문 전 예약 리마인드 알림 제공
취소 규정 강화: 일정 시간 내 취소하지 않으면 위약금을 부과하는 정책 운영

노쇼에 대한 패널티(위약금)는 어떻게 적용되나요?

음식점 & 병원: 일정 시간 내 취소하지 않으면 다음 예약 제한
호텔 & 항공권: 노쇼 발생 시 100% 요금 부과 (특히 항공권은 변경 불가)
공연 & 스포츠 경기: 티켓 환불 불가, 좌석 공석 처리

해외에서는 노쇼를 어떻게 관리하나요?

  • 미국 & 유럽: 미대부분의 레스토랑과 호텔에서 신용카드 사전 등록 후 예약 가능
  • 일정 시간 내 취소하지 않으면 자동으로 결제됨 
  • 일본 "카이요쿠(会約)" 문화 확산 → 예약을 신성하게 여기고, 노쇼를 하면 신뢰를 잃음

정리하자면!
노쇼는 단순한 개인 실수가 아니라 업계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입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사전 결제, 예약 확인 알림, 취소 규정 강화를 적극 도입해야 합니다.
해외에서는 신용카드 등록 등 강력한 페널티를 적용하고 있으며, 우리도 개선이 필요합니다!